로고

행사안내이미지

석전대제

1. 석전(釋奠)의 의의

석전이라 일컬음은 문묘(文廟)에서 공부자(孔夫子)께 제사지내는 의식을 말한다. 즉 만세종사(萬世宗師)이신 공부자께서 남기신 仁義道德의 이상을 근본으로 하여 인간으로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효제충신(孝悌忠信)의 실천과 수제치평(修齊治平)의 도리를 천명함에 있어 모성배사(慕聖拜師)의 예로서 생폐예제(牲幣醴齊)를 헌설(獻設)하고 공부자께서 자리에 앉아 계신 것처럼 엄숙하고 경건하게 전례(奠禮)를 봉행하는 것을 석전이라고 한다. 그러나 원래는 문묘에서 선성(先聖), 선사(先師)에게 제사지내는 의식으로서 석(釋)과 전(奠)은 ‘다 차려놓다.’라는 뜻이며, 이러한 석전은 선성과 선현들의 학문과 인격 및 덕행과 사상을 단순한 이론으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이를 숭모하고 존중히 여기며 스승을 높이하고 진리를 소중히 여기는 기풍을 체득하기 위하여 문묘에서 거행하는 의식이다.

2. 2·8 上丁 祭의 典據

禮記祭法論에 이르기를 저 天道를 合하여 봄에는 체제를 지내고 가을에는 嘗祭를 지낸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春秋를 擇한 것이며 2月, 8月로 정한 것은 雨露旣濡의 季節과 霜露旣降의 季節을 擇하여 仲春과 仲秋로 한 것이며 初丁日에 古代부터 擧行되었는데 初丁日에 祭禮를 지내는 理由는 丁字가 든 날이 十干十日 中에 가장 吉하다는 由來에 근거하여 每年 春秋仲月 上丁(二月과 八月의 첫째 丁日) 初一刻四更点擧行 하였다. 1953년에 공문십철(孔門十哲)과 송조육현(宋朝六賢)을 복위(復位)하고 석전도 봄과 가을 두 차례 즉,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上丁日)로 봉행하였으나, 중앙상무회의에서 결의하여 2007년부터 공부자(孔夫子)의 기신일(忌辰日)을 양력(陽歷)으로 환산한 5월 11일에 춘기석전(春期釋奠)을 봉행하고, 탄강일(誕降日)을 양력으로 환산한 9월 28일에 추기석전(秋期釋奠)을 봉행하게 되었으나 아직도 석전일의 통일을 보지 못한 채 향교별로 兩分되어 2.8상정일과 기신, 탄강일로 서로 다르게 봉행하고 있어 심히 안타까운 일이다.

    <釋奠祭享의 變遷 過程>
  • 가) 檀紀4253(1920)年 庚申(庚戌國恥後10年) 改行 午前 10時로 함.
  • 나) 檀紀4270(1937)년 丁丑 2月에 改正 陽四月 및 10月의 15日로 함.
  • 다) 檀紀4282(1949)年 己丑 6月에 全國儒林大會에서 廢春秋 釋奠하고 孔子誕日인 陰8月 27日에 爲 紀念釋奠키로 함.
  • 라) 檀紀4290(1957)年 丁酉 春秋 2 · 8 上丁日로 復行키로 함.
  • 마) 孔夫子誕辰日인 陰8月 27日에 酌獻禮를 奉行함.
  • 바) 2007년 양력 5월 11일(孔夫子 忌辰日)과 9월 28(孔夫子 誕降日)일 봉행과 전통적인 2·8 상정일로 이원화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3. 釋奠의 歷史

中國의 釋奠歷史

釋奠이란 先聖, 先師에게 祭祀지내는 儀式이다. 「禮記」와 「周禮」에 學校와 祖檷廟에서의 釋奠을 말하고 있어 釋奠은 周初부터 있었다. 또한「禮記」와 後漢 鄭玄의 注에 學校의 釋奠에 先師에게 釋奠하는 常祀와 先聖先師에게 하는 非常祀가 있음과 漢代 釋奠에서 모셔진 先聖, 先師에 대한 記錄이 있는데 다만 史料에서는 確認 할 수 없다. 우리나라의 釋奠歷史 中國 以外에 孔子思想이 가장 빨리 들어왔고 가장 廣範圍하게 퍼졌고 影響받은 바가 가장 깊으며 孔子廟가 가장 많은 나라가 바로 우리 나라이다. 端的으로 高麗 成宗11年(993년) 開京에 國子監과 太學 4門學 等 6學을 設立, 博士 · 助敎를 두어 가르치게 하니 以後 六學의 學生 數가 6천名이었다 하며 朝鮮 「經國大典」의 規定에 依하면 官學生의 數가 만 오천 餘名이었다 하니 이 같은 事實 하나만으로도 高麗 · 朝鮮 兩代의 儒敎의 盛함을 가히 斟酌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 이르러 儒敎가 옛 勢를 잃었음은 勿論이지만 그래도 間斷없이 가장 잘 繼承, 維持하고 있는 나라는 中國보다 오히려 우리나라라 할 것이다. 高句麗에 太學이 있고 百濟에도 일찍 國學이 있으며 新羅에도 비록 兩國보다 뒤지나 일찍이 國學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三國 國學에서 釋奠이 있었는지의 與否는 文獻에 明記된 것이 없어 알기 어렵다. 文獻에 依해 우리나라 釋奠에 關한 歷史를 考察해 보면 新羅 眞德王 2年(648년) 金春秋가 唐에 건너가 國學에 나아가 釋奠 보기를 請하였다 하니 이는 新羅에서 釋奠을 施行하려한 때문이다. 聖德王16年(717년) 王子 守忠이 3年 동안 唐에 있다 歸國하여 「文宣王 10哲 72弟子圖」를 올림에 곧 太學에 두었다하니 이때는 確實하게 唐을 본떠 釋奠을 行하였을 것이다.

4. 成均館 釋奠과 鄕校 釋奠의 差異點

于先 文廟神位의 範圍에 있어 「大典續錄」의 「開城府와 八道界首官은 太學과 같이 하며 州, 府, 郡學은 西廡 諸位를 면제할 수 있으며 縣學은 十哲도 면제할 수 있다.」라고 한 것과 「太學志」의「宋朝 六賢」과 東國 十五賢(金麟厚, 趙憲, 金集은 當時 未從享)은 공히 모셔야 한다.」고 한 것을 보면 鄕校의 文廟라 할지라도 可能한 한 成均館 文廟와 그 規模를 같이 할 것을 國家가 要求하였던 것 같다. 그러나 鄕校 形便上 자연 成均館과 같이 하기 어려운 것이 있으므로 西廡 諸位와 十哲의 면제가 云謂된 것이다.

5. 釋奠儀

    <釋奠祭享의 變遷 過程>
  • 가. 鄕校 釋奠 祭官의 任務
    • 初獻官 : 祭祀의 主人으로 五聖 位 神位 前에 향을 피우고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祭官.(五梁冠을 쓰고 祭服을 입는다)
    • 亞獻官 : 五聖 位 神位 前에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祭官.(四粱冠을 쓰고 祭服을 입는다)
    • 終獻官 : 五聖 位 神位 前에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祭官.(三梁冠을 쓰고 祭服을 입는다)
    • 東 從享 分獻官 : 東 從享 神位 前에 香을 피우고 술잔을 올리는 祭官.(三梁冠을 쓰고 祭服을 입는다)
    • 西 從享 分獻官 : 西 從享 神位 前에 香을 피우고 술잔을 올리는 祭官.(三梁冠을 쓰고 祭服을 입는다)
    • 執禮 : 笏記를 읽으면서 儀式을 進行시키는 祭官.(三梁冠을 쓰고 祭服을 입는다)
    • 解說 執禮 : 解說을 擔當하는 祭官 (梁冠을 쓰고 祭服을 입는다)
    • 大祝 : 祝文을 읽는 祭官. (二梁冠을 쓰고 祭服을 입는다)
    • 廟司 : 祭祀의 準備 및 監察을 擔當하는 祭官. 직일 또는 직월이라고도 함. (儒巾을 쓰고 道袍를 입으며 木靴를 신는다)
    • 奉香 : 香을 받드는 執事. (執事者 : 儒巾을 쓰고 道袍를 입으며 木靴를 신는다)
    • 奉爐 : 香爐를 받드는 執事.(執事者 : 儒巾을 쓰고 道袍를 입으며 木靴를 신는다)
    • 奉爵 : 술잔 받들어 獻官께 드리는 執事.(執事者 : 儒巾을 쓰고 道袍를 입으며 木靴를 신는다)
    • 奠爵 : 獻官으로부터 술잔을 받아 神位前에 올리는 집사.(執事者 : 儒巾을 쓰고 道袍를 입으며 木靴를 신는다)
    • 司罇 : 술잔에 술을 따르는 執事.(執事者 : 儒巾을 쓰고 道袍를 입으며 木靴를 신는다)
    • 謁者 : 初獻官, 亞獻官, 終獻官을 引導하는 執事.(執事者 : 儒巾을 쓰고 道袍를 입으며 木靴를 신는다)
    • 贊引 : 東․西 從享 分獻官을 引導하는 執事. (執事者 : 儒巾을 쓰고 道袍를 입으며 木靴를 신는다)
  • 나. 鄕校 釋奠 時 獻官 配定에 關한 指針

    鄕校 釋奠 時 獻官 配定은 鄕校 自體的으로 決定하는 것을 原則으로 하나 如意치 않을 境遇는 다음 事項을 遵守하여야 한다.

    • 1) 鄕校 釋奠 時 初獻官은 道知事 · 市長 · 郡守가 擔當함을 原則으로 한다.
    • 2) 道知事 · 市長 · 郡守가 有故로 參席이 不可能 할 境遇에는 敎育監 敎育長이 擔當한다.
    • 3) 敎育監· 敎育長도 有故로 參席이 不可能할 境遇에는 典校가 擔當한다.
    • 4) 初獻官을 除外한 亞獻官 以下 모든 獻官과 執事는 鄕校에서 決定하여 施行한다.
  • 다. 釋奠의 節次

    釋奠의 大體的 節次는 다음과 같이 크게 十段階로 區分된다.

    • 1) 奉行準備
    • 2) 唱 笏 : 執禮가 笏記를 읽는 일
    • 3) 奠幣禮 : 初獻官이 五聖位에 향을 피우고 幣帛을 올리는 禮.
    • 4) 初獻禮 : 初獻官이 五聖位께 첫 잔을 올리고 大祝이 祝文을 읽는 禮
    • 5) 亞獻禮 : 亞獻官이 五聖位께 두 번째 잔을 올리는 禮.
    • 6) 終獻禮 : 終獻官이 五聖位께 세 번째 잔을 올리는 禮.
    • 7) 分獻禮 : 分獻官이 從享位께 잔을 올리는 禮.
    • 8) 飮福禮 : 初獻官이 飮福하는 禮.
    • 9) 撤籩豆 : 大祝이 籩과 豆를 거두는 禮.
    • 10) 望燎禮 : 幣帛과 祝文을 불사르고 땅에 묻는 禮(半焚半坎)

6. 祭需 및 陳設圖

  • 가) 祭需準備
    • 釋奠祭 奉享 2日前부터 始作.
  • 나) 祭需檢視
    • ① 祭享當日 典祀室에서 교자로 외삼문 중앙통로로 운반한 제수를 명륜당에서 원로유림 임석 하에 물목별로 축관이 상고하면 전사관이 검시한다.
    • ② 釋奠祭 祭需 物目
      • 稻白米(도백미) - 흰쌀 : 壹斗
      • 黍白米(서백미) - 수수 : 壹斗
      • 粱白米(양백미) - 차좁쌀 : 壹斗
      • 稷白米(직백미) - 피 쌀 : 壹斗
      • 鹿脯(녹포) - 사슴건포 : 八十五條(쇠고기포 대용)
      • 栗黃(율황) - 밤 : 壹斗
      • 榛子(진자) - 개암 : 壹斗(잣 대용)
      • 芡仁(검인) - 마름 : 壹斗(호두 대용)
      • 刑鹽(형염) - 흰 소금 : 壹斗
      • 乾棗(건조) - 마른대추:壹斗
      • 菱仁(능인) - 마름 : 壹斗(은행 대용)
      • 黃燭(황촉) - 초 : 五十條
      • 魚醢(어해) - 간 고기 : 八十五條(조기 대용)
      • 芹菹(근저) - 미나리 : 壹斗(五條)
      • 醓醢(탐해) - 고기국물 : 壹斗(장조림 대용)
      • 筍菹(순저) - 죽순 : 壹斗
      • 鹿醢(녹해) - 사슴고기장조림 : 壹斗(쇠고기 간 대용)
      • 兎醢(토해) - 토끼고기장조림 : 壹斗(돼지고기 대용)
      • 菁菹(청저) - 무 : 壹斗(二十五條)
      • 韭菹(구저) - 부초 : 壹斗
      • 豕腥(시성) - 돼지고기 : 壹斗
      • 丹香(단향) - 향 : 參片
      • 眞墨(진묵) - 먹 : 壹丁
      • 黃筆(황필) - 붓 : 壹柄
      • 榜白紙(방백지) - 한지 : 壹丈
      • 祝文丈紙(축문장지) - 한지 : 壹丈
      • 床巾白紙(상건백지) - 한지 : 壹丈
      • 座板白紙(좌판백지) - 한지 : 壹丈
      • 際(제)
  • 다) 陳設
    • 검시가 끝난 祭羞를 교자로 운반하여 대성전 내삼문 중앙통로를 거쳐 東便계단으로 올라 중앙 문을 열고 제수를 하역하여 전사관의 지시에 따라 대성지성문선왕, 연국복성공안자, 성국종성공증자, 기국술성공자사, 추국아성공맹자 순으로 진설하고. 아국 십팔현 중 東享으로부터 순서대로 西享 까지 진설한다.
  • 라) 祭禮常識
    • ① 五聖位 陳設位는 同一한 數이나 文宣王 位에는 厚重하고 四聖位에는 若干 輕함.
    • ② 宋朝 六賢에서 豫國公 程顥와 徽國公 朱憙 兩位만 남기고 나머지 四位는 埋安하였음.
    • ③ 十五賢은 至今 十八賢 賢位로 늘어나 있음.
    • ④ 五聖位에 쓰는 幣帛은 玉洋木을 씀. 文宣王 位에는 3마, 四聖位에는 1마씩 쓰고 그 外는 없음.
    • ⑤ 左邊에는 동쪽(왼쪽)便에 놓는 祭器로서 대나무로 만든 祭器며 實果와 乾脯 등 마른 제수를 담는다.
    • ⑥ 右豆는 서쪽(오른쪽)便에 놓는 祭器임. 나무로써 만들었으며 김치(沈菜)또는 젓갈 등 젖은 제수를 담는 祭器이다.
    • ⑦ 成均館에서는 十籩 十豆로 祭物에 쓰고 鄕校에서는 八籩 八豆로 한다.
    • ⑧ 十籩에는 形鹽(형염). 魚鱐(어수). 乾棗(건조). 栗黃(율황). 榛子(진자). 菱仁(능인). 芡仁(검인). 鹿脯(녹포). 白餠(백병). 黑餠(흑병).
    • ⑨ 十豆에는 韭菹(구저). 菁菹(청저). 鹿醢(녹해). 芹菹(근저). 兎醢(토해). 筍菹(순저). 魚醢(어해). 醓醢(탐해). 豕腥(시성). 羊腥(양성).
    • ⑩ 八籩八豆에 籩에는 白餠과 黑餠을 안 쓰고 豆에는 豕腥과 羊腥을 안 쓴다.
    • ⑪ 成均館
      • ㉠ 簠(보 : 보에 담는 두 가지 제수) : 稻(도 : 쌀로 대용)와 粱(량 : 조, 차좁쌀)을 담으며
      • ㉡ 簋(궤 : 궤에 담는 두 가지 제수) : 黍(서 : 수수)와 粱 四品을 쓰고 鄕校에서는 稻 黍 二品만 쓴다.
        • · 簠(보) : 유기(鍮器)로 만든 놋그릇으로 모양은 네모지고 안은 둥글며 도(稻)와 량(粱)을 담는다.
        • · 簋(궤) : 유기로 만든 놋그릇으로 모양은 둥글며 서(黍)와 직(稷)을 담는다.
      • ㉢ 俎(조) : 나무로 만든 직사각상자형(匣)그릇으로 희생(犧牲)을 담는다.
      • ㉣ (牛腥, 羊腥, 豕腥, 白餠, 黑餠)
      • ㉤ 篚(비) : 대나무로 만든 폐백(幣帛)을 담는다.
      • ㉥ 爵(작) : 유기로 만든 참새모양의 놋잔으로 의식용 주기(儀式用 酒器)모양을 형상화한 술잔이다.
      • ㉦ 坫(점) : 축판이나 작을 놓기 위하여 동(銅)으로 네모나게 만든 평평한 받침.
    • ⑫ 鹿脯(녹포)사슴 생고기에다 소금을 절여서 말린 것. 지금은 牛肉으로써 만든다(用量은 四貫정도)
    • ⑬ 魚鱐(어수) 소금을 쓰지 않고 그대로 말린 물고기 즉 乾魚임. (상어를 쓴다)
    • ⑭ 榛子(진자) 개암나무 果實 지금은 잣으로 代用한다.
    • ⑮ 芡仁(검인) 가시연밥의 열매 지금은 胡桃 代用한다.
    • ⑯ 菱仁(능인) 마른열매인 果實 지금은 銀杏으로 代用한다.
    • ⑰ 栗黃(율황) 밤.
    • ⑱ 乾棗(건조) 마른대추.
    • ⑲ 形鹽(형염)흰 소금. 元來는 소금을 뭉쳐서 호랑이 形態로 만들었으나 지금은 마른 소금을 그대로 使用한다.
    • ⑳ 醓醢(탐해) 고기국물(돼지고기를 말린 뒤에 그것을 저며 가지고 누룩 및 소금물에 섞은 뒤 좋은 술에 담가서 항아리 속에 百日동안 두어 만드는데 지은 장조림으로 代用한다.)
    • ㉑ 魚醢(어해) 물고기 젓.(조기를 소금에 절여서 만든다)
    • ㉒鹿醢(녹해) 노루고기를 말린 뒤 얇게 썰어 누룩 및 소금물을 섞은 다음 좋은 술에 담가서 항아리 속에 百日동안 두어 만든다.(현재는 소고기를 代用 한다)
    • ㉓ 兎醢(토해) 토끼고기를 말린 뒤에 그것을 얇게 썰어서 누룩 및 소금을 섞어서 좋은 술에 담가서 항아리 속에 百日동안 두어 만든다(토끼고기를 저며서 소금에 절임)
    • ㉔ 芹菹(근저) 미나리를 아래 위를 잘라 四寸 크기로 만든 다음 실로 묶어서 陳設한다.
    • ㉕ 菁菹(청저) 무우를 四寸 크기로 깍두기 形態로 썰어 陳設한다.
    • ㉖ 韭菹(구저) 부추를 아래 위를 잘라 四寸 크기로 만든 다음 실로 묶어 陳設한다.
    • ㉗ 筍菹(순저) 竹筍을 아래 위를 잘라 四寸 크기로 만든 실로 묶어서 陳設한다(도라지로 代用)
    • ㉘ 簠稻(보도) 쌀로 찐 밥.
    • ㉙ 簠粱(보량) 기장을 찐 밥.
    • ㉚ 簋黍(궤서) 잔수로 찐 밥.
    • ㉛ 簋稷(궤직) 피로써 찐 밥
    • ㉜ 幣篚(폐비) 폐백을 담는 대광주리.
    • ㉝ 羊牲(양생) 염소의 날고기.
    • ㉞ 豕牲(시생) 돼지 날고기.
    • ㉟ 香爐(향로) 향을 피우는 화로.
    • ㊱ 燭(촉) 촛불.
    • ㊲ 爵:(술잔) 백동으로 주조한 것임. 모양은 風帆船과 같고 세 개의 발이 달려있다. 前足이 一 後足이 二임
    • ㊳ 犧罇(희준) 술항아리. 醴齊用이고 赤銅으로 鑄造하여 모양은 牛形이며 등(背)中間에 붓는 큰 구멍이 있다.
    • ㊴ 象罇(상준) 술항아리. 앙제-盎齋用(순백주용=鶯齊?-앵제) 붉은구리쇠로 鑄造하여 코끼리 모양이며 등 中間에 큰 구멍이 있다.
    • ㊵ 山罍(산뢰)술항아리.淸酒用이며 赤銅으로 만들었으며 山形을 그린 것이다.
    • ㊶ 明水(명수) 샘물. 井華水 제주로 쓸 때 明水라 한다.
    • ㊷ 犧牲(희생) 天地墓祀에 祭祀지낼 때 바치는 짐승(牛,豚,羊) 남을 救하기 爲하여 목숨을 바친다. 殷나라 湯王이 자기 몸을 犧牲하여 하늘에 祈雨祭를 지낸 故事에서 유래되었다.
    • ㊸ 祭床(제상) 밤나무로 만든 大小 두 가지가 있는데 大는 橫이 二尺, 縱이 一尺으로 聖位에 소머리 羊牲이 七條 豕牲이 七体를 담는 용기요, 小形은 橫이 一尺, 縱이 六寸으로 從享位와 兩廡 에 羊牲과 豕牲을 담는 用器인데 七体는 다 쓰지 않는다.
    • ㊹ 果種(과종)은 三重皮로 쓰는데 ㉮ 芡仁은 水中果로서 周禮에 記錄되어 있으며 ㉯ 菱仁은 水中果로 속칭 마름 ㉰ 榛子는 木實인데 속칭 개암 ㉱ 栗黃은 木實인데(밤) ㉲ 榧子는 木實임. 이상 果種은 三子와 二仁이다. 이 果種 中 바뀐 것이 있으니 朝鮮 正祖 二十年에 芡仁과 菱仁은 水中果로 채취하기가 克難하니 木實인 胡桃와 銀杏으로 바꾸고 榛子는 木實이나 역시 採取가 克難하니 栢子仁으로 바꾸고 榧子는 木實이요 採取도 어렵지 아니하나 殺菌劑인 劇藥이니 이러한 劇藥物을 先聖에 바치는 것은 不敬한 일이니 大棗로써 代用하도록 했다. 大棗는 木實이나 果의 정의인 三重皮는 아니다. 예전 법에 依하면 仙果는 틀림이 없다는 理論에 依해 쓰기로 한 것이다. 鹿(사슴녹) 脯(말린고기포) 肉(고기육) 豕(돼지시) 貼(붙일첩) 羊(염소양) 豚(돼지돈) 幷(아우를병) 條(가지조) 脚(다리각) 哲(밝을철) 賢(어질현) 形(얼굴형) 首(머리수) 芡(마름검) 菱(마름능) 燭(촟불촉) 籩(대제기변) 栗(밤율) 榛(개암나무진) 棗(대추조) 牲(희생생) 鱐(마른고기수) 鹽(소금염) 犧(희생희) 象(코끼리상) 罍(술잔뢰) 醴(단술예) 盎(동이앙) 簠(보궤보) 簋(대제기궤) 稻(벼도) 粱(기장량)黍(기장서) 稷(피직) 醓(육탕탐) 醢(젖갈해) 芹(미나리근) 菹(절임저) 酢(초초) 菜(나물채) 兎(토끼토) 銅(구리동) 縱(놓을종) 廟(사당묘) 殷(은나라은).
    • ㊺ 祭酒(제주)의 種類(종류)
      • ㉠ 醴齊(예제) : 犧罇에 담아 술이 다 되어 술과 찌꺼기가 서로 어우러진 술을 初獻官이 올린다.
      • ㉡ 盎齊(앙제) : 象罇에 담아 술이 다 되어 총 백색이 된 술을 亞獻官이 올린다.
      • ㉢ 淸酒(청주) : 山罍(산뢰)에 담아 겨울에 빚어 여름에 익는 술로 終獻官이 올린다.
      • ㉣ 明水(명수) : 달빛 아래의 물은 달에서 나기 때문에 明이라하여 犧罇과 象罇에 담는다.
      • ㉤ 玄酒(현주): 太古 때에는 술이 없어서 물을 가지고 행례 했는데 후일 왕이 옛것을 소중히 여겼기 때문에 높여 현주라 했다. 물의 빛이 검게 보여 ‘현’이라 하고 山罍에 담는다.
    • ㊻ 參禮者 服裝
      • ㉠ 獻官(헌관) 및 分獻官(분헌관)의 服裝(복장) : 官服着用 官帽 冠帶 및 携帶 笏
      • ㉡ 諸執事者(제집사자)의 服裝(복장): 儒服 儒巾
    • ㊼ 唱榜(창방)
      • ㉠ 唱榜有司는 榜의 內容을 公布한다.
      • ㉡ 釋奠祭 唱榜文 解說(석전제 창방 문 해설)

마) 釋奠陳設圖

(1) 孔夫子 位 陳設圖

西(右) 八豆
西(우) 팔두
位牌
위패
東(左) 八籩
東(좌) 팔변
魚醢어해절인생선
⇛(절인조기)
芹菹근저
미나리
(12cm)
酖醢탐해
절인돼지고기
簋궤: 黍
서수수밥
簠보:稻
도메밥
魚鱐어수상어
⇛(오징어포)
榛子진자개암
⇛(잣)
鹿脯녹포사슴고기포
⇛(쇠고기포)
筍菹순저죽순
(12cm)
⇛도라지대용
鹿醢녹해노루 肝
⇛(쇠고기 肝)
  簋궤:
稷직피밥
잡곡밥
簠보:
梁양조밥
  栗黃율황(밤) 芡仁검인
가시연밥
⇛(호두)
兎醢토해
절인토끼고기
⇛쇠고기대용
菁菹청저무
깍두기
(12cm)
韭菹구저
부추
(12cm)
  刑鹽형염
(흰 소금)
乾棗건조
(마른대추)
菱仁능인
(마른열매)
⇛은행열매
燭촉 豕腥시성
(돼지 머리)
幣篚폐비 羊腥(양성)
⇛(쇠고기 代用)
燭촉
    爵(작)
初獻官초헌관
爵(작)
亞獻官아헌관
爵(작)
終獻官종헌관
   
祝 坫
축 점
配,從享 無
香爐
향로
香盒
향합

(2) 四聖位 陳設圖

西(右) 八豆
西(우) 팔두
位牌
위패
東(左) 八籩
東(좌) 팔변
魚醢어해절인생선
⇛(절인조기)
芹菹근저
미나리
(12cm)
酖醢탐해
절인돼지고기
簋궤: 黍
서수수밥
簠보:稻
도메밥
魚鱐어수상어
⇛(오징어포)
榛子진자개암
⇛(잣)
鹿脯녹포사슴고기포
⇛(쇠고기포)
筍菹순저죽순
(12cm)
⇛도라지대용
鹿醢녹해노루 肝
⇛(쇠고기 肝)
        栗黃율황(밤) 芡仁검인
가시연밥
⇛(호두)
兎醢토해
절인토끼고기
⇛쇠고기대용
菁菹청저무
깍두기
(12cm)
韭菹구저
부추
(12cm)
  刑鹽형염
(흰 소금)
乾棗건조
(마른대추)
菱仁능인
(마른열매)
⇛은행열매
燭촉 豕腥시성
(돼지 머리)
幣篚폐비 羊腥(양성)
⇛(쇠고기 代用)
燭촉
    爵(작)
初獻官초헌관
爵(작)
亞獻官아헌관
爵(작)
終獻官종헌관
   
香爐
향로
香盒
향합

(3) 從享位) 陳設圖

西(右) 四豆
西(우) 사두
位牌
위패
東(左) 四籩
東(좌) 사변
魚醢어해절인생선
⇛(절인조기)
芹菹근저
미나리
(12cm)
  簋궤: 黍
서수수밥
簠보:稻
도메밥
菱仁능인
(마른열매)
⇛은행열매
鹿脯녹포사슴고기포
⇛(쇠고기포)
菁菹청저무
깍두기
(12cm)
韭菹구저
부추
(12cm)
  豕腥시성
(돼지 머리)
  乾棗건조
(마른대추)
栗黃율황(밤)
燭촉   爵(작)
初獻官초헌관
爵(작)
亞獻官아헌관
爵(작)
終獻官종헌관
  燭촉
香爐
향로
香盒
향합